리뷰 JOB화점 이슈 이너피스

알수록 이득, 긴급재난지원금의 모든 것!

여성동아 2020-05-18 12:00
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된 소비심리를 개선하고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5월 13일부터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 어떻게 받아서, 어디 쓰는 게 좋을까.
동아일보DB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전례 없는 경제 위기를 맞았다. 항공업, 숙박업 등 여행 관련 업종은 직격탄를 맞았고, 무기한 휴업에 들어간 사업장도 부지기수다. 하루아침에 수입이 끊겨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가 늘자 정부는 당초 저소득층에게 지급하고자 했던 긴급재난지원금을 4월 말, 전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지원금액은 가구원 수별로 차등 지급된다. 주민등록세대기준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 4인 이상 1백만원이다. 세대주가 대표로 신청해야하고 세대주 명의의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가 있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신용‧체크카드가 없는 경우 지류상품권이나 선불카드로 받을 수 있다. 오프라인 신청은 세대주 이외 세대원 혹은 대리인도 위임장만 있으면 가능하다.
신청은 언제까지? 

신청 종료 기한 없고, 신청 후 2일 내 지급
온라인 신청은 5월 11일부터 출생연도 뒷자리를 기준으로 한 5부제로 시행됐고, 16일부터는 5부제 상관 없이 신청 가능하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카드는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등 총 9군데다. 각 사 인터넷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접속 후 대상자 여부부터 조회한다. 세대주로 확인되면 본인명의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신청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지원금은 신청 후 2일 내 충전된다.

온라인 신청이 익숙지 않은 이들은 5월 18일부터 카드와 연계된 은행창구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신청 과정은 온라인과 동일하며 지급 역시 신청 후 2일 내에 이뤄진다. 카드사별로 지원금이 충전되면 곧바로 신청자 휴대전화 번호로 문자 혹은 카카오톡 메시지가 전송되는데, 그때부터 사용할 수 있다. 한번 지급받은 충전금은 다른 카드사로 옮길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재난지원금을 받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점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기존 카드의 적립, 할인 등의 혜택을 그대로 받으면서 카드 실적에도 포함된다. 둘째, 재난지원금을 포함한 연간 카드 소비액이 연 소득의 25%를 초과하면 신용‧체크카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카드사들은 카드 결제 직후 문자 혹은 카카오톡으로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액 3만원 사용, 남은 금액 97만원’ 등의 형식으로 메시지를 보내기 때문에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 카드결제 했다면 지원금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카드사 결제금액으로 일반 승인된다.
카드로 받기 어렵다면? 

주민센터나 지역금고에서 현장수령
신용‧체크카드로 지원금을 받기를 원치 않는 경우 지역사랑상품권 혹은 선불카드로 받을 수 있다. 5월 18일부터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서를 입력하면 지급준비 완료 통보가 문자로 오는데 이에 따라 지정된 지역금고(새마을금고 등)를 방문해 수령하면 된다.

이 역시 번거롭다면 읍면동 주민센터나 지역금고를 방문해 신청서를 접수하면 된다. 지원금 지급준비가 완료된 주민센터나 지역금고의 경우 신청즉시 바로 받을 수 있지만 지급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지정된 날짜에 다시 방문해야 한다. 헛걸음하지 않으려면 행정안전부 콜센터, 국민콜, 읍면동 주민센터 콜센터에 전화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사용지역 & 기한은? 

세대주 주민등록지역에서 8월 말까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수단은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나뉘는데 각각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되며 업종 역시 제한된다. 신용‧체크카드는 세대주의 주민등록지역인 특별시‧광역시‧도 등 광역자치단체 안에서 써야한다. 선불카드는 지자체별 설정에 따라 광역 또는 기초자치단체 안에서, 지역사랑상품권은 해당 광역 또는 기초자치단체에 한정된다.

사용기한은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상품권(지류형‧모바일형‧카드형) 모두 8월 31일까지다. 8월 31일까지 사용하지 못한 긴급재난지원금은 소멸된다. 단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의 경우 정부에서 8월 31일까지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원래 사용기한이 발급일로부터 5년까지기 때문에 재난지원금으로 받은 지역사랑상품권도 그때까지(지자체별로 상이) 사용할 수 있다.
결제 가능한 곳은? 

11업종 제외, 카드 가맹점 대부분 OK
신용‧체크카드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은 대형마트(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온라인 전자상거래, 대형전자 판매점, 클린카드 적용업종(유흥‧위생‧레저‧사행 등), 상품권업종, 귀금속업종, 조세‧공공요금업종, 면세점, 보험업, 교통‧통신 카드자동이체 등 총 11곳이다. 클린카드 적용업종은 발마사지, 스포츠마사지, 골프장, 스크린골프장, 노래방, 카지노, 오락실, 성인용품점 등 상식적으로 재난지원금이 사용되기 어려운 곳들이라고 보면 된다. 위 11업종을 제외한 카드사의 가맹점에서는 대부분 사용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전통시장, 동네마트, 주유소, 음식점, 카페, 편의점, 병원(대학병원 포함), 약국, 미용실, 안경점, 서점,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간혹 SNS 상에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재난지원금을 사용했다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예외적인 경우다. 백화점 및 대형마트 내 매장을 빌려 임대계약을 맺고 장사를 하는 식당, 안경점, 약국, 미용실, 세차장, 수선집 등은 소규모 영업장으로 분류되기 때문. 필요한 경우 미리 전화해서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국민카드 모바일앱에서는 재난지원금 사용가능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프랜차이즈 영업장의 경우에도 주민등록지 내 가맹점은 사용할 수 있다. 편의점과 치킨집이 대표적이다. 다만 직영점의 경우 본사 소재지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들만 쓸 수 있다. 서울에 본사를 두고 100% 직영점만 운영하는 스타벅스는 서울시민들만 서울 내 직영점에서 사용할 수 있어 논란이 됐다. 같은 이유로 대전에 본사가 위치한 KTX는 대전시민만, 서울에 본사(GS리테일)가 있는 랄라블라는 서울시민만, 세종에 본사가 있는 타이어뱅크는 세종시민만 재난지원금 결제가 가능하다. 또 대형마트의 기업형 슈퍼마켓 가운데 예외적으로 GS슈퍼마켓은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 배달앱의 경우 모바일 결제는 재난지원금 사용이 안 되지만 배달 후 현장에서 결제할 때는 사용 가능하다.

지역별로 사용처가 다른 문제가 발생하자 일부 카드사는 모바일 앱으로 사용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 롯데카드는 홈페이지에서 지역별 사용처 검색이 가능하고, KB국민카드는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한 ‘재난지원금 사용 가맹점 지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사용하면 잔액 현금으로 받을 수 있어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은 비교적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제한된다. 원래 지역사랑상품권은 발행하는 지자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남사랑상품권은 강남구에서만, 종로사랑상품권은 종로구에서만 쓸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의 사용 범위는 각 자치단체가 조례로 정하기 때문에 사용처를 정확히 알고 싶다면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전, 해당 주민센터에 구체적인 지역‧업종 제한 범위를 문의하는 것이 좋다.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의 장점은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만 거래가 되기 때문에 실수로 추가 결제할 일이 없다는 데 있다. 신용카드로 결제했다가 재난지원금이 빠져나가지 않고 카드 결제가 되면 취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 매번 눈으로 거래 금액과 잔액을 확인하고 싶다면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지역사랑상품권의 경우 몇 가지 장점이 더 있다. 지자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지류로 거래하면 액면가의 60~70% 사용 후 잔액을 현금으로 환불 받을 수 있다는 것. 또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사용기한은 8월 31일로 제한되지만, 지역사랑상품권은 최장 5년까지 사용할 수 있어 이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또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정된 재난지원금보다 일부 더 지급하기도 한다. 서울시의 서울사랑상품권은 제로페이로 신청할 경우 신청기간인 5월 18~22일 동안 하루 2000명에 한해 선착순 1만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이러한 지자체별 지역사랑상품권의 혜택은 해당 시‧도 및 자치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EDITOR 정혜연 기자

당신을 위한 뉴스